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영원한 대권 주자인 이회창이 번번히 대선에서 패배한 이유

배선욱 에디터 조회수  

위키백과

‘대통령 빼고 다 해봤다’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는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대법관, 감사원장, 국무총리 등 엘리트 코스를 밟으며 ‘대쪽’ 이미지를 쌓았지만, 번번이 대권 문턱에서 좌절하며 ‘영원한 2인자’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했다.

그의 3번의 대선 도전은 왜 번번이 실패로 끝났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회창의 정치 역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패배 원인을 다각도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대세론’의 함정과 시대정신과의 불일치

이회창 2007년 선거 유세 장면 (출처:위키백과)

이회창은 1997년, 2002년 대선에서 연이어 ‘대세론’을 형성하며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결과는 참패였다.

‘대세론’에 안주하며 변화하는 시대정신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유권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지 못했던 것이 패인이었다는 분석이 있다.

-경직된 이미지와 소통 부족

‘대쪽’ 이미지는 3김 정치에 염증을 느끼던 유권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왔지만, 동시에 경직되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유권자들은 그에게서 ‘정’을 느끼기 어려웠고, 서민들과 소통하는 능력 또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이미지는 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갔던 김대중, 노무현 후보와 대비되며 그의 지지율 확장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시대 변화에 둔감한 정책

이회창은 반공주의, 자유시장경제, 대북 강경책 등 보수적인 가치를 옹호했지만, 시대 변화에 발맞춘 유연한 정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특히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은 남북 화해 분위기를 원하는 유권자들의 공감을 얻지 못했다.

2007년 대선에서는 “선진화의 조건인 법치주의와 대북정책의 변화를 국민에게 직접 호소하기 위해서” 출마했지만, 이미 시대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결정타였던 ‘병풍’ 논란과 잇따른 악재

이회창 대선 포스터 (출처:온라인 커뮤니티)

이회창의 발목을 잡았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두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 이른바 ‘병풍’ 논란이었다.

이는 공정성을 중시하는 유권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고, 그의 도덕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더불어 IMF 외환 위기, 측근들의 비리 의혹 등 잇따른 악재는 그의 이미지를 더욱 실추시키며 지지율 하락을 부추겼다.

-1997년 대선: ‘병풍’과 IMF의 그림자

1997년 대선 당시 불거진 ‘병풍’ 논란은 이회창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아들들의 병역 면제 과정에 대한 의혹은 그의 지지율을 급락시켰고, 경쟁 후보였던 김대중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설상가상으로 IMF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보수 정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졌고, 이는 이회창의 패배로 이어졌다.

-2002년 대선: ‘색깔론’과 엇갈린 민심

2002년 대선에서는 ‘병풍’ 논란을 극복하고 다시 한번 대권에 도전했지만, 노무현 후보의 ‘개혁’ 이미지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당시 이회창은 ‘색깔론’을 제기하며 보수층 결집을 시도했지만, 이는 시대착오적인 전략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미국에 우호적인 후보’라는 인식은 반미 감정이 고조되던 당시 상황과 맞물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수, 엇나간 선택과 쇠락

2024년 이회창 근황 (출처:정연욱 의원 페이스북)

2007년, 이회창은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대선에 출마하는 강수를 둔다.

그러나 이는 “정권 교체에 대한 국민의 열망에 부응해주기를” 바랬지만 “한나라당의 경선과정과 그 후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이러한 기대를 접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라는 명분은 공감을 얻지 못했다.

이미 두 번의 실패를 경험한 그에게 유권자들은 더 이상 기회를 주지 않았고,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는 세 번째 대선에서도 고배를 마시며 ‘영원한 2인자’로 남게 되었다

이회창의 사례는 정치인에게 시대정신을 읽고 유권자와 소통하는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아무리 훌륭한 경력과 강직한 이미지를 가졌더라도,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그는 몸소 증명했다.

그의 실패는 후대 정치인들에게 ‘소통’과 ‘변화’라는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관련 기사

author-img
배선욱 에디터
bsy@infoloop.co.kr

댓글1

300

댓글1

  • 뱡풍과대조작 공작이다. 김대업 뼝풍조작 공작.

[정치] 랭킹 뉴스

  • '국힘 해산' 홍준표 결국 국민의힘에 역대급 대형 폭탄 던졌다
  • 尹,김건희 대통령 관저에서 2051톤 물을 쓴 이유가 개수영장 때문?
  • 네티즌에게 "넌 학벌도 안좋지?","이죄명" 댓글 올린 국힘 시의원, 결국…
  • "진절 머리 난다" 尹,김건희 밑에서 일한 대통령실 여직원의 솔직한 후기
  • 대선에서 패배한 김문수, 이준석의 앞으로의 행보는?
  • 대통령된 이재명…김정은, 시진핑, 트럼프에게 뭐라고 말할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KBS가 포기한 드라마가 케이블에 와서 9.7% ‘시청률 1위’를 기록하다
    KBS가 포기한 드라마가 케이블에 와서 9.7% ‘시청률 1위’를 기록하다
  • 잊고 있었던 반가운 맛…’서울 3대 떡집’을 찾아서
    잊고 있었던 반가운 맛…’서울 3대 떡집’을 찾아서
  • 농심에서 15년간 일한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농심에서 15년간 일한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 ‘서울’ 배경에 ‘K팝’을 소재로했더니…세계 1위를 차지한 이 영화
    ‘서울’ 배경에 ‘K팝’을 소재로했더니…세계 1위를 차지한 이 영화
  • 한국에서 가장 예쁜 호수길인데…곧 사라질 예정이어서 빨리 가야할 이곳
    한국에서 가장 예쁜 호수길인데…곧 사라질 예정이어서 빨리 가야할 이곳
  • 조국을 구한 영웅이지만, 한국사 최대 ‘미스터리적 인물’인 이분
    조국을 구한 영웅이지만, 한국사 최대 ‘미스터리적 인물’인 이분
  • 한국 1등 예능에 나와서, 곧 수많은 한국인들이 방문할 예정인 ‘휴양지’
    한국 1등 예능에 나와서, 곧 수많은 한국인들이 방문할 예정인 ‘휴양지’
  • 해외팬들이 사랑하는 역대 한국 드라마속 남녀 커플 TOP 10
    해외팬들이 사랑하는 역대 한국 드라마속 남녀 커플 TOP 1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KBS가 포기한 드라마가 케이블에 와서 9.7% ‘시청률 1위’를 기록하다
    KBS가 포기한 드라마가 케이블에 와서 9.7% ‘시청률 1위’를 기록하다
  • 잊고 있었던 반가운 맛…’서울 3대 떡집’을 찾아서
    잊고 있었던 반가운 맛…’서울 3대 떡집’을 찾아서
  • 농심에서 15년간 일한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농심에서 15년간 일한 연구원이 추천한 라면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 ‘서울’ 배경에 ‘K팝’을 소재로했더니…세계 1위를 차지한 이 영화
    ‘서울’ 배경에 ‘K팝’을 소재로했더니…세계 1위를 차지한 이 영화
  • 한국에서 가장 예쁜 호수길인데…곧 사라질 예정이어서 빨리 가야할 이곳
    한국에서 가장 예쁜 호수길인데…곧 사라질 예정이어서 빨리 가야할 이곳
  • 조국을 구한 영웅이지만, 한국사 최대 ‘미스터리적 인물’인 이분
    조국을 구한 영웅이지만, 한국사 최대 ‘미스터리적 인물’인 이분
  • 한국 1등 예능에 나와서, 곧 수많은 한국인들이 방문할 예정인 ‘휴양지’
    한국 1등 예능에 나와서, 곧 수많은 한국인들이 방문할 예정인 ‘휴양지’
  • 해외팬들이 사랑하는 역대 한국 드라마속 남녀 커플 TOP 10
    해외팬들이 사랑하는 역대 한국 드라마속 남녀 커플 TOP 10

추천뉴스

  • 1
    한국 1등 예능에 나와서, 곧 수많은 한국인들이 방문할 예정인 '휴양지'

    라이프 

  • 2
    해외팬들이 사랑하는 역대 한국 드라마속 남녀 커플 TOP 10

    영화 

  • 3
    베트남 왕국의 마지막 왕자가 먼 바다를 건너 한반도로 귀화한 사건

    라이프 

  • 4
    이동진도 호평…박스오피스 1위하며 극장가 점령한 섬뜩한 '공포영화'

    영화 

  • 5
    시청률 1%넘게 하락해 걱정했는데…어제 4.7% 상승한 '대박 드라마'

    영화 

지금 뜨는 뉴스

  • 1
    적수가 없다…시청률 6.1%까지 오르며 금요일 '압도적 1위'한 드라마

    영화 

  • 2
    넷플릭스 1위한 소지섭의 차기작은 4년간 평점 9점 유지한 '대박 웹툰'

    영화 

  • 3
    농담인줄 알았는데 진짜였다…전국 직장인들 열광시킨 정부 발표

    경제 

  • 4
    제2의 오징어 게임 되나? K팝 걸그룹이 퇴마하는 작품 미국 반응 '대폭발'

    영화 

  • 5
    1700만 관객 불러들인 '한국인이 사랑'한 이 영화…현재 6편 제작 돌입

    영화 

공유하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