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와 협력하여 추진 중인 ‘워프 스피드(Warp Speed)’ 프로젝트가 미국 산업 재건을 넘어 세계 경제 질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워프 스피드 프로젝트는 무엇인가?

워프 스피드의 명칭은 스타트렉(Star Trek)에서 유래한 것으로,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초고속으로 추진했던 ‘Operation Warp Speed'(워프 스피드 작전)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백신 개발을 넘어 미국 제조업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팔란티어의 최고 기술 책임자(CTO)인 샴 산카르는 워프 스피드 플랫폼을 “비트를 통해 원자를 더 잘 구부리는 방법을 재구상하는 현대 미국 제조 운영 체제”라고 설명한다.
워프 스피드 플랫폼은 엔터프라이즈 자원 계획(ERP), 제조 실행 시스템(MES), 제품 수명 주기 관리(PLM),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등 제조 운영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전통적인 ERP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조 공정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팔란티어의 역할은?

팔란티어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특히 정부 및 국방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며 데이터 분석, 정보 통합, 의사 결정 지원 등의 솔루션을 제공해왔다.
팔란티어의 AI 소프트웨어는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가자 지구 표적 공격, 미국 국방부의 드론 영상 분석, 로스앤젤레스 경찰국(LAPD)의 범죄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워프 스피드 프로젝트에서 팔란티어는 자사의 AI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미국 제조업체들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공급망 관리를 최적화하며, 엔지니어링 혁신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워프 스피드를 통한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

트럼프 행정부는 워프 스피드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워프 스피드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대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공급망을 강화해 핵심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미국의 경제 안보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대목은 차세대 기술 혁신을 미국이 주도 하는 것이다.
팔란티어와의 협력을 통해 AI, 빅데이터, 첨단 제조 기술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미국의 기술 우위를 확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그런데 워프 스피드가 실행되면 세계는?

워프 스피드 프로젝트는 미국 경제와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것으로 보고있지만,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수도 있다는 전망도 지니고 있다.
첫째, 무역갈등이 더 심화될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워프 스피드가 결합될 경우,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글로벌 교역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둘째, 세계 경제 성장의 둔화를 촉진시킬수 있다.
결국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글로벌 공급망을 붕괴시키고, 세계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 특히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셋째, 기술 패권 경쟁이 더 심화될수 있다.
워프 스피드가 미국의 기술 우위를 강화하는 데 집중된다면, 다른 국가들과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 수 있다. 특히 중국과의 기술 경쟁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워프 스피드는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위에서 언급한 문제는 결국 한국 경제에 동일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결국 한국 정부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수 있다.
미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R&D 투자 확대, 인재 양성, 규제 혁신 등을 통해 자체적인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기술 표준을 선도해 워프 스피드와 비슷한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현대자동차 같은 대기업이 그랫듯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대하고,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장벽을 우회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