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할라 시장 본격 진출한다
최근 몇 년간 K-푸드의 인기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프리미엄 식재료인 한우가 할랄 시장에 진출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중동 지역은 할랄 인증을 받은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우 수출의 주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할랄 시장의 성장과 한우의 가능성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슬람 율법에 따라 무슬림이 먹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제품을 총칭한다. 전 세계 무슬림 인구는 약 19억 명으로, 할랄 식품 시장은 2021년 기준 1조 9,000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이다. 전문가들은 할랄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2조 8,000억 달러(약 3,700조 원), 2030년에는 4조 9,000억 달러(약 6,5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AE는 중동 지역에서 할랄 식품 산업의 선두 주자로, 할랄 식품이 건강식 및 프리미엄 식품으로 인식되면서 무슬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급 레스토랑의 증가로 할랄 육류 시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할랄 소고기는 무슬림 인구 증가와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한우의 할랄 시장 진출 노력

농림축산식품부는 K-푸드의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 중동, 중남미, 인도를 3대 신시장으로 지정하고, 할랄 인증 제품을 확대하는 등 현지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3년 6월에는 할랄 인증을 받은 한우가 말레이시아에 처음 수출되면서 이슬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2025년 1월, 횡성KC 가공공장이 UAE 할랄 인증을 획득하면서 중동 시장에 할랄 한우를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후 aT와 농협경제지주 등은 중동지역 한우 수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UAE 등 중동 시장 현지 공동 마케팅, 수출 활성화 방안 공동 연구, 할랄 수출 작업장 등록 및 유지 관리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2025년 6월, 농식품부와 aT는 UAE 아부다비에서 할랄 인증 한우 런칭 행사를 개최하여 중동지역 육류 바이어, 5성급 호텔 셰프, 현지 오피니언 리더 등 120여 명에게 한국산 할랄 한우의 우수성을 알렸다. 넷플릭스 흑백요리사로 유명한 최현석 셰프는 한우의 부위별 특성과 조리법을 시연하고, 육회, 스테이크 등 한우 코스 요리를 제공하여 참석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같은 달,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2025 한우 쿠킹쇼’를 개최하여 프리미엄 K-푸드로서 한우의 가치와 글로벌 경쟁력을 현지 외식 및 유통 관계자들에게 알렸다. 미슐랭 1스타 셰프 손종원은 한우 타르타르, 한우 불고기 잡채, 한우 육회 비빔밥, 된장 양념 한우 구이 등 전통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뉴를 선보였다.
넘어야 할 과제와 미래 전망

할랄 인증 문제
국내에는 UAE에서 인정받는 육류 할랄 인증 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해외 인증 기관을 통해 도축장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도축장 할랄 인증 절차가 까다롭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UAE와 우리 정부 및 국내 인증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할랄 인증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품질 균일성 확보
한우는 홍콩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일본 화우에 비해 품질 균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같은 등급이라도 근내 지방도에 따라 품질 차이가 크고, 현지에서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어 품질 관리에 더욱 힘써야 한다.
가격 경쟁력 확보
한우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수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수출 물류비 지원 확대 등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유통 채널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한우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한다.
한우 부위별 활용도 확대
한우는 등심, 안심, 채끝 등 일부 구이용 부위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다른 부위는 소비가 부진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불고기, 탕, 찜 등 다양한 조리법을 개발하고,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여 한우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한우의 할랄 시장 진출은 K-푸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와 업계의 적극적인 노력과 투자, 그리고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한우가 할랄 시장을 넘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